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성북구에서 함께하고 있고, 성북구 주민이라면 누구든 오늘부터 바로 참여하고 실천할 수 있는 환경활동들을 소개한다.
성북구 생태체험관에서 자연을 아끼고
공공 공간 태양광 발전소로 에너지를 나누고
재활용품 모아 자원순환데이에 종량제 봉투로 바꾸고
헌 물건도 리앤업사이클플라자에서 다시 써봐요~
성북구 탄소중립 키워드는
# 주민과함께 # 성북맞춤
성북구는 구의 실정에 맞는 성북형 탄소중립 실현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실천을 돕기 위해 「성북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기본조례」를 제정하고 각 부문별 전문가, 시민단체들과 함께 ‘성북구 2050 탄소중립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 ‘탄소중립 이행책임관’을 지정하여 성북구의 탄소중립 정책들이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였다.
더 많이 알면, 더 많이 사랑하게 된대!
성북생태체험관
자연에 대한 사랑도 소중함도 직접 경험해야 더 선명하게 기억할 수 있는 법! 성북구 생태체험관에서 자연을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며 환경과 함께하는 추억을 만들어 보자.
운영시간 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일요일 09:00~18:00
주소
- 북한산 생태체험관 : 성북구 솔샘로25길 121-50
- 개운산 생태체험관 : 성북구 북악산로 949-73, 2층
이용방법 다음 카페 〈성북생태체험관 나누기〉 가입 후 매월 말(매월 변동) 선착순 접수
공원녹지과 ☎ 02-2241-3733
운영시간 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일요일 08:00~17:00
주소 성북구 성북로 31길 126-9 윗 건물
이용방법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홈페이지에서 매월 말(매월 변동) 선착순 접수
북악산 생태체험관 ☎ 070-4197-6370
나눌수록 시원해지는 지구
신재생에너지 성북나눔발전소
전기를 쓰는데 지구도 살아나고 우리도 행복해지는 발전소가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성북구의회 옥상, 장위 빗물펌프장, 개운산 생태체험관, 길음 환승주차장에 설치하였던 4곳의 태양광 발전소가 그곳이다.
2013년 첫 설치된 이후로 현재까지 총 1,536MWh의 전기를 생산해서 판매하였고 그 수익으로 취약계층 및 사회복지시설의 조명교체, 태양광 발전소 9개소를 추가 설치하여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실천과 에너지복지정책을 동시에 실현해 나가고 있는 중이다.
1+1 탄소중립 실천 성북절전소
평소 탄소중립 활동을 열심히 하다가도 ‘나 하나 전기 아끼고 분리수거 열심히 한다고 뭐가 달라질까?’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럴 때는 ‘함께’의 힘으로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성북절전소’를 찾아보자.
성북절전소는 성북구의 탄소중립 시민실천을 위한 마을공동체로 2025년 현재 120개소 주민공동체가 가입되어 활동하고 있다. 주민공동체 가입으로 개인의 활동을 서로 응원하는 효과도 있지만 공공영역의 에너지 절감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더 뜻 깊다. 성과에 따라 공동체 인센티브도 있으니 일석이조다.
환경과 ☎ 02-2241-3013
재활용품 줄게, 종량제봉투 다오~
수요일은 성북 자원순환데이
성북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이라면 라벨을 제거한 투명페트병, 종이팩, 폐건전지를 모아보자. 매주 수요일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서 10리터 종량제봉투로 교환 받을 수 있다.
교환대상 투명페트병(15개) 또는 종이팩(1kg) 또는 건전지(15개)
운영기간 25. 3.~ 예산 소진 시까지, 매주 수요일 09:00~16:00
교환장소 거주지 동 주민센터
각 동 주민센터 또는 청소행정과 ☎ 02-2241-4415
다시 태어난 것 같아요, 환생하는 중고물품
성북 리앤업사이클플라자
이곳에 가면 세상 모든 것이 새로 태어날 수 있을 것만 같다. 고장 났던 가전과 삐거덕거리던 가구는 깨끗하게 수리되어 판매대에 오르고 의류수거함과 장롱 구석 사이에서 방황하던 옷은 느낌 좋은 새 옷과 생활소품으로 변신했다. 중고물품을 깨끗하게 닦아 가져가면 얼마든지 새롭게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이쯤 되면 물어보고 싶다. 혹시 여기서 사람도 새로 태어날 수 있나요?
상설 전시를 통해 쓰레기 처리와 자원순환에 대해 잘 알게 되어 집에서는 재활용 분류를 잘하게 되고 새활용과 가전관리, 수리 교육을 받으면 지구를 더욱 깨끗하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이 될 수는 있다고 한다. 평일 10시, 15시에는 전시 해설도 들을 수 있다.
▲ 성북 리앤업사이클플라자
▲ 결과물 〈한복, 부직포 가방, 양말목 새활용〉
▲ 수업장면 〈생활가전 관리교실〉
▲ 3층 새활용제품 전시실 전경
위치 성북구 화랑로 146 (상월곡역 4번 출구 앞)
운영시간 평일 09:00~18:00
신청방법 25. 5. 20.(화)부터 온라인(성북학습포털) 및 전화접수
※ 매월 20일
수강료 무료
※ 만들기 수업의 경우 재료비 발생할 수 있음
성북 리앤업사이클플라자 ☎ 02-919-8176, 8177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 알쏭달쏭한
쓰레기 잘~ 버리는 방법
청소행정과 ☎ 02-2241-4400
너와 나의 소중한 일상을 지키는
삼양로 ‘일상의 마켓’
올해에도 성북구 삼양로 일대에서 지구 일상의 소중함을 오래 지키기 위해 작정하고 제로웨이스트를 외치는 '일상의 마켓'이 열린다. 길음청년창업거리 가게들과 함께하는 마켓 부스, 공연, 친환경 체험과 이벤트 등이 준비되어 있다.
일시 25. 6. 21.(토) 16:00~20:00
장소 길음청년창업거리(성북구 삼양로 일대)
성북문화재단 ☎ 02-6906-3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