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맨위로
서울이야기
특별함이 일상이 되는 2025년, 달라지는 서울생활
2025-01-21
  • 기사공유
  • 엑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링크 복사
본문글자크기

서울시가 2025년 미리 알아두면 좋을 만한 유용한 정보들을 한데 모았다. 이번에 발간되는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 책자는 사업별 핵심 내용을 설명하고 이용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담아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어떤 내용들이 실렸는지 확인해보자.

먼저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가구에 2년간 전세보증금의 이자 및 월세 지원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신청은 몽땅정보 만능키 (umppa.seoul.go.kr)에서 하면 된다. 알파룸·빌트인 가전 등 신혼부부의 선호도를 반영한 소형 아파트나 신축오피스텔 2,000호를 추가로 매입하고 미리내집과 연계해 신혼인 출산 가구의 주거 부담을 덜어준다. 10년 후엔 대단지 미리내집으로의 이주를 지원하고 시세보다 낮은 가격의 우선매수청구권 부여 등 혜택을 제공한다. 올해 말, 서울주택도시공사 누리집(i-sh.co.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아이들의 안전한 놀이공간은 물론 돌봄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서울형 키즈카페와 맞벌이 부부의 출근과 초등자녀의 등교가 맞물리는 아침시간대 등교 지원 등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도 확대 운영한다. 관련 정보는 우리동네키움포털(icare.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회기여 활동에 참여하는 서울 소재 54개 대학 내 200개 동아리를 선정, 활동비를 지원한다. 팬데믹 이후 사회적 관계를 맺기 힘든 청년들을 대상으로 관계회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디지털미래인재양성소 청년취업사관학교도 내년 5곳(중랑·송파·서초·양천·구로)의 신규 캠퍼스를 개관한다. 디지털 신기술 교육과 다양한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새롭게 조성되는 청년취업사관학교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중장년 일자리 지원도 강화한다. 중장년 일자리박람회 규모를 확대하고, 5개 권역별 50플러스 캠퍼스를 중심으로 지역 일자리를 발굴, 구직자와 기업을 매칭하는 50플러스 잡페어를 새롭게 운영한다.

소상공인의 폐업 결정부터 사후관리까지 꼼꼼하게 지원하는 새 길 여는 폐업지원 사업은 상시모집으로 변경·확대한다. 점포 철거비, 임차료 등 폐업시 필요한 비용도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하고 컨설팅은 물론 재창업·재취업도 도와준다. 서울신용보증재단 자영업지원센터(www.seoulsbdc.or.kr)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민간 일자리 취업을 원하는 60세 이상 노년층을 위한 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도 문을 연다. 은퇴 전 경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 발굴부터 직무 맞춤형 취업 교육과 훈련을 제공해 노년층의 재취업과 사회참여를 돕는다.

어르신일자리 박람회, 시니어 전용 일자리 플랫폼도 구축한다. 돌봄과 외로움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 누구나 전화한통으로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안심돌봄120외로움안녕120 콜센터 운영도 시작된다. 도움이 필요한 당사자는 물론 가족들도 이용가능하다.

매력적인 서울을 즐길 수 있는 방법도 살펴보자. 작년에 많은 사랑을 받았던, 수영·자전거·달리기로 즐기는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가 기간을 연장하고 참가자도 3배가량 늘린다. 초급자(총 15km)·상급자(총 31km) 코스 외 각종 시민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아울러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광화문과 DDP를 잇는 청계광장~오간수교 구간에 첨단조명 기술을 활용한 빛의 둘레길도 조성한다. 청계천 조명 디자인을 전면 개편하고 DDP 등 주변 명소의 문화행사와 연계해 청계천의 야간관광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전자책으로도 만나볼 수 있는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은 서울시 누리집(seoul.go.kr)과 정보소통광장(opengov.seoul.go.kr)에서 열람할 수 있고 서울시 소통포털 내 손안에 서울(mediahub.seoul.go.kr)에서도 만날 수 있다.

서울특별시 다산콜재단 ☎ 02-120

2025년 2월호
2025년 2월호
  • 등록일 : 2025-01-22
  • 기사수 :
2025년 2월호QR코드를 스캔하여 스마트폰에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